교육정보/공부와입시

국가고시 뜻 나라에서 주관하는 시험들.

진지하게 블로거 2021. 1. 31. 12:21

국가고시 즉! 국가에서 어떤 자격이나 면허를 주기 위해서 국가에서 시행하는 시험들을 이야기합니다. 국가에서 주관하는 모든 시험들이 국가고시인데 나라에서 인정해주기에 공신력이 있다는 것이죠.

여기서 자격과 면허의 차이에 따라서 국자자격시험의 경우는 공인중개사, 회계사를 예시를 들 수 있고 기술자격시험으로는 기술사, 산업기사 등이 해당됩니다.

민간자격시험으로 유명한 한자와 텝스가 있으며

예전 우리나라의 3대 고시라 불리던 행정고시, 외무고시, 사법고시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3년 이상의 수험시간을 소요할만큼 시험이 어려워 3대 고시라고 불렸습니다. 시험이 어려운 만큼 합격시 중견급 이상의 공무원급수 5급, 판사는 3급을 보장받기 때문에 '고시를 준비하고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표현을 쓸정도로 계층의 사다리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그밖에도 임용시험들로 7급 9급 공무원이 있습니다.

특히 많은 수험생들이 준비하는 9급 공무원의 경우는 행정직과 기술직이 있습니다. 행정직은 각 직렬에 해당되는 국가기관에 소속되어 행정업무를 보는 공무원이 있습니다.

일반, 교육, 세무직 등이 존재합니다.

기술직은 전문기술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는데 건축직, 토목직, 운전직 등이 존재합니다.

9급 공무원의 경우는 국가직, 지방직 굳이 하나를 더 이야기하자면 서울시 공무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가직 공무원의 경우는 누구나 응시가 가능합니다. 같은 지방직이지만 서울시 공무원도 거주지 제한이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방직 공무원의 경우는 거주하고 있는 지역으로만 접수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뤄보겠습니다.]

9급 공무원 가장 경쟁이 심한 직렬은 일반행정직입니다. 무려 128대 1의 경쟁률을 보이기도 합니다. 우체국에서 근무하는 계리직 공무원의 경우도 2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취업과 고용에 대한 불안으로 공무원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공무원의 응시제한이 없다고 하지만 자격증이 필수한 직렬들도 있으니 낮은 경쟁률에서 경쟁을 희망한다면 자격증 취득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교사, 간호사, 의사 등 면허 혹은 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 기술에 대한 자격을 증명하고 이를 위해서 보는 시험들 즉 나라에서 주관하는 모든 시험들이 국가고시이다.